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입양 전 나와 맞는 견종 고르기(세번째 강아지_요크셔테리어편)

by moongstar 2025. 7. 13.

 

요크셔테리어 키우기 A to Z: 성격, 외형, 질병, 예방법 총정리

목차

1. 요크셔테리어의 주요 성격

요크셔테리어는 소형견이지만 매우 용감하고 독립심이 강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테리어 계열답게 호기심이 많고 낯선 환경에 대한 적응력도 뛰어납니다. 보호자에게 충성심이 강하며, 경계심도 강해서 경비견 역할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집이 세고 자존심이 강한 면이 있어, 어릴 때부터 사회화 훈련과 기본 복종 훈련이 필요합니다. 주인의 일관된 리더십이 중요하며, 애정과 함께 규칙을 제공해야 합니다.

2. 요크셔테리어의 외형적 특징

요크셔테리어는 작고 가벼운 체구를 지닌 소형견으로, 평균 체중은 2~3kg입니다. 곧고 부드러운 털은 머리부터 꼬리까지 길게 자라며, 주로 블루 앤드 탄(회색+황갈색) 색상을 띱니다.

눈은 둥글고 검으며 생기가 넘치고, 귀는 삼각형으로 서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굴은 작고 세련된 인상을 주며, “강아지계의 귀족”이라 불릴 만큼 우아한 외모를 지니고 있습니다.

3. 요크셔테리어 키우는 방법

요크셔테리어는 실내 생활에 최적화된 견종으로, 아파트나 원룸에서도 잘 적응합니다. 다만 에너지가 넘치기 때문에 하루 20~30분 이상 산책실내 놀이가 필수입니다.

고급 단백질 위주의 소형견 맞춤 사료를 제공하고, 치아가 약한 편이므로 딱딱한 간식은 주의해야 합니다. 털이 길게 자라기 때문에 주기적인 미용과 빗질(주 2~3회)이 필요합니다.

4. 요크셔테리어 키울 때 주의사항

  • 낙상 주의: 몸집이 작아 소파나 침대에서 떨어져도 골절 위험이 큽니다.
  • 저혈당 주의: 식사를 거르면 쉽게 저혈당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관리: 고독을 싫어하므로, 장시간 혼자 두지 않도록 합니다.
  • 추위에 약함: 체온 조절 능력이 약하므로, 겨울철엔 반드시 의류나 담요로 보호해야 합니다.

5. 요크셔테리어가 잘 걸리는 질병

1) 동맥관 개존증 (PDA)

선천성 심장 질환으로, 폐동맥과 대동맥 사이의 혈관이 닫히지 않아 심장에 부담을 줍니다.

2) 수두증

머리뼈가 작아 뇌척수액이 정상 배출되지 않으면 두개강 내 압력이 상승하며, 신경학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슬개골 탈구

슬개골이 정상 위치에서 이탈하는 질환으로, 무릎 관절이 약한 요크셔테리어에게 매우 흔합니다.

4) 레그-페르테스병

대퇴골두가 괴사하는 질환으로, 주로 성장기 소형견에게 나타나며 절뚝거림이 주 증상입니다.

5) 요로결석증

요로계에 결석이 생겨 배뇨 곤란, 혈뇨, 고통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남아에게 더 흔합니다.

6. 질병의 예방과 치료법

동맥관 개존증

  • 예방: 선천적 질환으로 예방은 어려우나, 건강한 혈통 확인이 중요
  • 치료: 외과 수술로 닫아주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조기 수술 시 예후 좋음

수두증

  • 예방: 과한 번식 피하기, 브리더 선택 신중히
  • 치료: 뇌압 조절약, 항경련제, 수술적 치료

슬개골 탈구

  • 예방: 미끄러운 바닥 피하고, 관절보호 영양제 급여
  • 치료: 2도 이상일 경우 수술 필요, 이후 재활치료 필수

레그-페르테스병

  • 예방: 성장기 과격한 활동 제한, 유전 선별 중요
  • 치료: 대퇴골두 제거 수술, 물리치료 병행

요로결석증

  • 예방: 물 자주 마시게 하기, 저마그네슘 사료 급여
  • 치료: 약물 용해 요법, 중증 시 수술로 결석 제거

7. 요크셔테리어에게 적합한 가정

요크셔테리어는 가족과의 교류를 즐기며, 보호자에게 의존적인 성향이 강합니다. 따라서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은 1인 가정보다는 주거 시간이 긴 가정이 이상적입니다.

아이들과도 잘 지내지만, 몸이 작아 과격한 행동에는 쉽게 다칠 수 있으므로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내에서 주로 생활하는 가정, 조용하고 안정적인 환경이 적합합니다.

8. 결론 및 요약

요크셔테리어는 작지만 활기차고 영리한 반려견으로, 올바른 양육과 주의사항을 이해한다면 최고의 가족이 될 수 있습니다. 외모는 우아하지만 유전 질환에 취약하므로 질병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대비가 필요합니다.

동맥관 개존증, 수두증, 슬개골 탈구, 레그-페르테스병, 요로결석증은 대표적인 질병으로, 예방과 조기 발견이 건강한 반려 생활의 핵심입니다. 무엇보다 책임감 있는 돌봄과 꾸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사랑과 시간을 들일 수 있는 가정이라면, 요크셔테리어는 평생을 함께할 가장 충직한 반려견이 될 것입니다.